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Ver. 2501112501118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Since
2551.04.04 00:39
™The Realization of The Good & The Right In Wisdom & Nirvāṇa Happiness, 善現智福
ॐ मणि पद्मे हूँ
관리 메뉴

불교공부-기본용어

색계의 하늘 본문

카테고리 없음

색계의 하늘

Pun tarika 2012. 10. 22. 19:44



®

[ 요약 ]

○ 색계의 하늘

 

From Korea-tipitaka-dic
[Kor]색계[Chn]色界[Pali]rūpa-dhātu[San]rūpa-dhātu[Tib]gzugs kyi khams[Eng]the realm of form
[mean][1]삼계(三界) 중 욕계의 위에 있으며 물질적인 것이 모두 청정한 천계. 욕망은 끊었지만 육체는 남아 있는 자의 세계. 욕계만큼의 욕망이 번성하지는 않는 세계. 청정한 물질의 세계. 남녀의 구별이 없고 음식이 필요없으며 분노도 없다. 여기서는 광명이 음식과 언어를 대신한다. 4선천으로 구성되고, 다시 저마다 세분되어 모두 17천을 이룬다.
[mean][2]눈의 대상인 색깔과 형체.

 

From Unheo_Dongguk_univ_Buddhism_v24
●색계 ◀色界▶
3계의 하나. 욕계(欲界)의 위에 있으며, 욕계와 같은 음욕ㆍ식욕(食欲) 등의 탐욕은 여의었으나, 아직 무색계와 같이 완전히 물질을 여의어, 순정신적인 것은 되지 못한 중간의 물적(物的)인 세계.
선정(禪定)의 얕고ㆍ깊고ㆍ거칠고ㆍ묘함에 의하여 크게 나누어 4선(禪)으로 하고, 다시 18천(天)으로 나눔.((운허_동국역경원사전))

 

From Hanja(Korean Hanzi) Dic

색계 色界
索契

 

From Korean Dic

색계

색계(色界)[―꼐/―께][명사]
1.불교에서 이르는 삼계(三界)의 하나. 욕계(欲界)와 무색계의 중간 세계로, 탐욕에서는 벗어났으나 아직 색심(色心)까지는 벗지 못한 세계.
2.여색의 세계.

 

From 陳義孝佛學常見辭彙-edited

색계

【色界】三界之一, 在欲界之上, 因此界的衆生, 但有色相, 而無男女諸欲, 故名色界, 色界的範圍包括初禪至四禪等一共十八層天. →1866

From fk-ks-v10

색계

【色界】 p2545-上≫<一>梵語 rūpa-dhātu, 巴利語同.
色, 變礙․示現之義.
色界, 意爲色所屬之界. 三界之一. 又作 色天․色行天.
乃有淨妙之色質的器世界 及 其衆生之總稱, 位於「欲界」 上方, 乃 天人之住處.

此界之衆生 雖 離淫欲, 不著穢惡之色法, 然尙爲 淸淨微細之色法 所繫縛, 故爲別於其下之欲界 及 其上之 無色界, 而稱 色界.

此界之天衆 無 男女之別, 其衣係 自然而至, 而 以光明 爲 食物及語言.

此界 又 依 所入定之淺深次第而分四地(卽四禪天․四靜慮處).

初禪諸天總稱爲 離生喜樂地,
二禪諸天總稱爲 定生喜樂地,
三禪諸天總稱爲 離喜妙樂地,
四禪諸天總稱爲 捨念淸淨地.  

據 俱舍論卷 八 載,
初禪․二禪․三禪等三地 各有三天,
第四禪有 八天, 共 十七天, 卽 :

(一)初禪三天 :
(1)梵衆天(梵 Brahma-pāriṣadya),
(2)梵輔天(梵 Brahma-purohita),
(3)大梵天(梵 Mahā-brahman).

(二)二禪三天 :
(1)少光天(梵 Parīttābha),
(2)無量光天(梵 Apramāṇābhā),
(3)極光淨天(梵 Ābhāsvara).

(三)三禪三天 :
(1)少淨天(梵 Parītta-śubha),
(2)無量淨天(梵 Apramāṇa-śubha),
(3)遍淨天(梵 Śubha-kṛtsna).

(四)四禪八天 :
(1)無雲天(梵 Anabhraka),
(2)福生天(梵 Puṇya-prasava),
(3)廣果天(梵 Bṛhat-phala),

(4)無煩天(梵 Avṛha),
(5)無熱天(梵 Atapa),
(6)善現天(梵 Sudṛśa),
(7)善見天(梵 Sudarśana),
(8)色究竟天(梵 Akaniṣṭha).  

順正理論 卷二十一 釋 其名義謂(大二九․四五六中) :
「廣善所生, 故名爲梵.
此梵卽大, 故名大梵. 由彼獲得 中間定故․最初生故․最後歿故․威德等勝故, 名爲大.
大梵所有․所化․所領, 故名梵衆.
於大梵前, 行列侍衛, 故名梵輔.

自地天內光明最小, 故名少光.
光明轉勝, 量難測故, 名無量光.
淨光遍照 自地處故, 名極光淨.

意地受樂, 說名爲淨,
於自地中此淨最劣, 故名少淨.
此淨轉增, 量難測故, 名無量淨.
此淨周普, 故名遍淨.

意顯更無樂能過此以下空中天所居地, 如雲密合, 故說名雲.
此上諸天, 更無雲地, 在無雲首, 故說無雲.
更有異生勝福方所可往生故, 說名福生.

居在方所, 異生果中, 此最殊勝, 故名廣果.
離欲諸聖, 以聖道水, 濯煩惱垢, 故名爲淨, 淨身所止, 故名淨居 ;
或住於此, 窮生死邊, 如還債盡, 故名爲淨, 淨者所住, 故名淨居 ;
或此天中, 無異生雜, 純聖所止, 故名淨居.

繁謂繁雜, 或謂繁廣, 無繁雜中, 此最初故, 繁廣天中, 此最劣故, 說名無繁, 或名無求,
不求趣入無色界故. 已善伏除雜脩靜慮上中品障, 意樂調柔, 離諸熱惱, 故名無熱 ;
或令下生煩惱名熱, 此初離遠, 得無熱名 ;
或復熱者, 熾盛爲義, 謂上品脩靜慮及果, 此猶未證, 故名無熱.

已得上品雜修靜慮, 果德易彰, 故名善現.
雜修定障, 餘品至微, 見極淸澈, 故名善見.
更無有處於有色中能過於此, 名色究竟 ; 或此已到衆苦所依身最後邊, 名色究竟 ;
有言色者, 是積集色, 至彼後邊, 名色究竟.

此十七處, 諸器世間, 幷諸有情, 總名色界.」  


然色界諸天之廢立, 諸經論頗有異說.

▽長阿含經 卷二十 擧出
二十二天, 卽 :
梵身天․梵輔天․梵衆天․大梵天․
光天․少光天․無量光天․光音天․
淨天․少淨天․無量淨天․遍淨天․
嚴飾天․小嚴飾天․無量嚴飾天․嚴飾果實天․
無想天․無造天․無熱天․善見天․大善見天․阿迦尼咤天.

起世經 卷八․大般若經 卷四○三等 持相同說法.

■ 舊華嚴經卷十三․新華嚴經卷二十一․大般若經卷四○二․佛本行集經卷九等則 刪除 無想天, 而僅列擧 二十一天.
▽大毘婆沙論 卷一三六․ 立世阿毘曇論 卷六․ 大乘阿毘達磨雜集論 卷六等 刪 除 梵身․光天․淨天․嚴飾等 四天, 而立 十八天之說.
▼ 金光明最勝王經 卷三․順正理論卷二十一․彰所知論 卷上等 更除去 無想天 而立 十七天之說 ;
★ 阿毘曇心論經 卷五刪 除大梵天, 另加 無想天, 亦立 十七天之說 ;
% 中阿含卷九 地動經 復刪除 無想天, 而僅擧出 十六天之名.  

關於色界 四禪天衆生之依處(所居之處)․身量․壽量,
於長阿含經 卷二十․
大佛頂首楞嚴經卷九․
立世阿毘曇論卷三․
大毘婆沙論卷一三四․卷一三六․
俱舍論卷十一․
順正理論卷三十一等,
皆詳加敘述, 然所說略異.

[仁王般若波羅蜜經卷上․菩薩地持經卷二․大智度論卷十六․成實論卷十二․俱舍論卷五․卷二十八․仁王般若經疏卷一․法華經玄贊卷二․大乘義章卷八末]
(參閱「三界」 584․「天」 1330․「四禪」 1843)





 <二>卽十八界之色界. (參閱「色境」 2549)


- 대반야바라밀다경 - 제 2분 - 설근상품 제 5 -
■ 舊華嚴經 卷 十三․ 新華嚴經 卷二十一․ 大般若經卷 四○二․ 佛本行集經 卷九等 則 刪除 無想天, 而僅列擧 二十一天.

K0001V01P0005b10L;
四大王衆天 三十三天 夜摩天 睹史多天 樂變化天 他化自在天
梵衆天 梵輔天 梵會天 大梵天
光天 少光天 無量光天 極光淨天
淨天 少淨天 無量淨天 遍淨天
廣天 少廣天 無量廣天 廣果天
無繁天 無熱天 善現天 善見天 色究竟天


■ = 대반야바라밀다경의 명칭 ( 또는 18 천 설 등에 비하여 여기에만 나열되어 있는 것)

- 다음의 특수표시는 다른 분류에서는 제외하는 것임
21 천 (총 31천)
(초선=이생희락지 離生喜樂地) ● 범중천(梵衆天, =▽梵身天)· 범보천(梵輔天)· ●범회천(梵會天 =▽梵衆天)· ★대범천(大梵天 )·
(2선= 정생희락지 定生喜樂地) ● 광천(光天)· 소광천(少光天)· 무량광천(無量光天)· 극광정천(極光淨天 ▽光音天)·
(3선= 이희묘락지 離喜妙樂地) ● 정천(淨天)· 소정천(少淨天)· 무량정천(無量淨天)· 변정천(遍淨天)·
(4선= 사념청정지 捨念淸淨地) ● 광천(廣天 ▽嚴飾天)· ● 소광천(少廣天 =▽小嚴飾天 ○ 무운천(無雲天)· 무량광천(無量廣天 = ▽無量嚴飾天 ○복생천(福生天))· 광과천(廣果天 ▽嚴飾果實天)·
[■ ▼ 무상천(無想天)]
무번천(無繁天 ▽無造天)· 무열천(無熱天)· 선현천(善現天 ▽善見天)· 선견천(善見天 ▽大善見天)·
색구경천(色究竟天 ▽阿迦尼咤天)

//
▽ = 색계 22 천 (총 32천) 장아함경 長阿含經 卷二十 擧出 기세경 起世經 卷八․ 二十二天, 卽 :
▽ = 명칭이 현장 역과 다른 경우의 표시임

▽梵身天․ 梵輔天․ ▽梵衆天․ 大梵天․
光天․少光天․無量光天․▽光音天․
淨天․少淨天․無量淨天․遍淨天․
▽嚴飾天․▽小嚴飾天․▽無量嚴飾天․▽嚴飾果實天․
▽無想天․
▽無造天․無熱天․善見天․大善見天․▽阿迦尼咤天.


■ = 색계 21천설 구화엄경 舊華嚴經 卷 十三․ 신화어新華嚴經 卷二十一․ 大般若經卷 四○二․ 佛本行集經 卷九等 則 刪除 無想天, 而僅列擧 二十一天.

●○ = 색계 18 천설 대비바사론大毘婆沙論 卷一三六․ 立世阿毘曇論 卷六․ 大乘阿毘達磨雜集論 卷六等 천태4교의
●빼기[- ●梵身․ ●光天․ ●淨天․ ●嚴飾等 四天, ] 而立 十八天之說.
명칭 ○

▼ = 색계 17 천설 금광명최승왕경金光明最勝王 구사론 俱舍論卷 八 순정이론
▼ 빼기[- ●梵身․ ●光天․ ●淨天․ ●嚴飾等 四天, ]- 빼기[▼ 無想天]


★ = 색계 17천설 -2 아비담심론경 阿毘曇心論經 卷五刪 除 大梵天, 另加 無想天, 亦立 十七天之說 ;
★ 빼기[- ●梵身․ ●光天․ ●淨天․ ●嚴飾等 四天, ]- 빼기[★ 大梵天] + 더하기[▼ 無想天]

% = 색계 16 천설 中阿含 卷九 地動經 復刪除 無想天, 而僅擧出 十六天之名.  
% ★ 빼기[- ●梵身․ ●光天․ ●淨天․ ●嚴飾等 四天, ]- 빼기[★ 大梵天] - 빼기[▼ 無想天]


///



(一)初禪三天 :
(1)梵衆天(梵 Brahma-pāriṣadya), (2)梵輔天(梵 Brahma-purohita), (3)大梵天(梵 Mahā-brahman).
(二)二禪三天 :
(1)少光天(梵 Parīttābha), (2)無量光天(梵 Apramāṇābhā), (3)極光淨天(梵 Ābhāsvara).
(三)三禪三天 :
(1)少淨天(梵 Parītta-śubha), (2)無量淨天(梵 Apramāṇa-śubha), (3)遍淨天(梵 Śubha-kṛtsna).
(四)四禪八天 :
(1)無雲天(梵 Anabhraka),
(2)福生天(梵 Puṇya-prasava),
(3)廣果天(梵 Bṛhat-phala),
(4)無煩天(梵 Avṛha),
(5)無熱天(梵 Atapa),
(6)善現天(梵 Sudṛśa),
(7)善見天(梵 Sudarśana),
(8)色究竟天(梵 Akaniṣṭha).  


From Standard Korean Dictionary

색계

색계

色界
▮발음〔-꼐/-께〕
[명사]
1. 《불교》삼계(三界)의 하나. 욕계에서 벗어난 깨끗한 물질의 세계를 이른다. 선정(禪定)을 닦는 사람이 가는 곳으로, 욕계와 무색계의 중간 세계이다.
2. 여색(女色)의 세계.

From 한국위키
 이십팔천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삼십삼천(三十三天)에 대해서는 도리천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삼계(三界, 산스크리트어: trayo-dhātava[1] 또는 trayo dhātavaḥ[2], 팔리어: tayodhātavo[1] 또는 tisso dhātuyo[2], 영어:trailokya 또는 triloka[3])는 불교 용어로,
부처의 지위에 도달하지 못한 사람이 거주하는 욕계(欲界) · 색계(色界) · 무색계(無色界)를 통칭하는 낱말이다.[2]
삼계는 십법계(十法界 · Ten spiritual realms) · 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 · Great chiliocosm[4]) 등과 함께 불교의 세계관 또는 우주론(Buddhist cosmology)을 나타내는 용어이다.

불교의 교의에 따르면, 부처의 지위에 도달하지 못한 사람은 극복되지 못한 무명(無明)의 미혹(迷惑) 때문에 탄생과 죽음을 반복하는데("생사유전 · 生死流轉 또는 윤회 · 輪廻"),
삼계는 이러한 아직 깨닫지 못한 상태인 미계(迷界)를 셋으로 분류한 것이다.[1]
삼계는 비록 괴로움과 즐거움이 서로 간에 다르지만 삼계 모두는 탄생과 죽음이 반복되는 윤회를 벗어난 상태가 아니므로 생사(生死)라고도 한다.[5]
삼계는 다시 총 이십팔천(二十八天 · twenty-eight heavens[6] · 스물 여덟 하늘)으로 세분되는데,
욕계는 육천(六天)으로,
색계는 십팔천(十八天)으로,
무색계는 사천(四天)으로 나뉜다.[5][7]
이들 중 욕계의 육천(六天)은 지옥도 · 아귀도 · 축생도 · 수라도 · 인간도 · 천신도의 욕계 육도(欲界 六道) 중 천신도의 여섯 하늘만을 따로 지칭하는 것이다.
삼계가 이십팔천으로 나뉘기 때문에 이러한 구조의 불교의 우주론을 가리키는 말로 흔히 삼계이십팔천(三界二十八天)이라고도 한다.[8]
한편, 욕계의 육천(六天) 중 아래에서 두 번째[5]인 도리천(忉利天)은 "삼십삼천(三十三天)"이라고도 불리는데, 이십팔천과는 혼동하지 않아야 한다.

목차
1 구조
2 내용
2.1 욕계
2.2 색계
2.3 무색계
3 함께 보기
4 주석
5 참고 문헌
 
[편집]구조
삼계 이십팔천을 아래에서 위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삼계는 로마자 I, II, III을 이용하여, 이십팔천은 숫자 1, 2, 3 등을 이용하여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아래의 삼계의 구조는 고려 광종(재위 949~975) 때의 승려 제관(諦觀: ?~970?)이 저술한 천태종의 주요 논서 중 하나인 《천태사교의(天台四敎義)》에 나오는 내용에 따른 것이다.[5]
욕계(欲界) · 욕계천(欲界天) · कामधातु · Kāmadhātu · Desire Realm
지옥도(地獄道) · Naraka · Hell Realm
아귀도(餓鬼道) · Preta · Preta Realm
축생도(畜生道) · Tiryagyoni · Animal Realm
수라도(修羅道) · 아수라도(阿修羅道) · Asura · Asura Realm
인간도(人間道) · Manusya · Human Realm
천신도(天神道) · 천인도(天人道) · Deva · God Realm: 육욕천(六欲天: 욕계의 6개의 하늘)이 있다.
사왕천(四王天) · 사천왕천(四天王天) · चातुर्महाराजिककायिक · Cāturmahārājikakāyika
도리천(忉利天) · त्रायसत्रिंश · Trāyastriṃśa: 총 33개의 천성(天城)이 있어서 삼십삼천(三十三天)이라고도 불린다. 제석천(Indra)이 도리천의 지배자이다.
야마천(夜摩天) · 염마천(焰魔天) · याम · Yāma
도솔천(兜率天) · तुषित · Tuṣita
화락천(化樂天) · निर्माणरति · Nirmāṇarati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 · परिनिर्मित वशवर्तिन् · Parinirmita-vaśavartin
색계(色界) · 색계천(色界天) · Rūpadhātu · Form Realm: 색계 십팔천(色界十八天: 색계의 18개의 하늘)이 있다.
초선천(初禪天) · ब्रह्मा · Brahmā: 3개의 하늘(天)이 있다. 범천(梵天 · 브라흐마 · Brahmā)의 지배를 받는 영역이다.
범중천(梵衆天) · Brahmapāriṣadya
범보천(梵輔天) · Brahmapurohita
대범천(大梵天) · Mahābrahmā
이선천(二禪天) · आभास्वर · Ābhāsvara: 3개의 하늘(天)이 있다.
소광천(少光天) · Parīttābha
무량광천(無量光天) · Apramāṇābha
광음천(光音天) · Ābhāsvara
삼선천(三禪天) · शुभकृत्स्न · Śubhakṛtsna: 3개의 하늘(天)이 있다.
소정천(少淨天) · Parīttaśubha
무량정천(無量淨天) · Apramāṇaśubha
변정천(遍淨天) · Śubhakṛtsna
사선천(四禪天) · बृहत्फल · Bṛhatphala: 9개의 하늘(天)이 있다.
무운천(無雲天) · Anabhraka
복생천(福生天) · Puṇyaprasava
광과천(廣果天) · Bṛhatphala
무상천(無想天) · Asaññasatta: 불교의 교의에 따르면, 무상천은 외도(外道: 불교 이외의 종교, 특히 브라만교와 자이나교)의 깨달음에 도달했을 때 처하는 경지로 이 때의 선정(禪定)을 무상정(無想定)이라 한다.[5][9]
무번천(無煩天) · Avṛha
무열천(無熱天) · Atapa
선견천(善見天) · Sudṛśa
선현천(善現天) · Sudarśana
색구경천色究竟天 · Akaniṣṭha
무색계(無色界) · 무색계천(無色界天) · Ārūpyadhātu · Formless Realm: 무색계 사천(無色界四天: 무색계의 4개의 하늘)이 있다.
공무변처천空無邊處天 · Ākāśānantyāyatana
식무변처천識無邊處天 · Vijñānānantyāyatana
무소유처천(無所有處天) · 무소유천(無所有天) · Ākiṃcanyāyatana
비비상천(非非想天) · 비상비비상처천(非想非非想處天) · Naivasaṃjñānāsaṃjñāyatana
[편집]내용
불교에서 삼계는 욕계 · 색계 · 무색계를 의미한다.
[편집]욕계
욕계(欲界 · Kāmadhātu)는 중생이 처할 수 있는 존재 상태 중의 하나이자 또한 이 상태의 중생이 거주하는 세계이다.[10] 구체적으로, 욕계는 지옥도 · 아귀도 · 축생도 · 수라도 · 인간도 · 천신도의 여섯 가지 길, 즉 육도(六道)의 존재 상태로 구성된 여섯 세계를 총칭하는 낱말이며,[11] 이 세계는 식욕 · 수면욕 · 음욕이 있기 때문에 욕계라고 명명되었다.[11]
욕계에는 천신도의 존재 상태에 있는 사람들인 천신(Deva)이 거주하는 곳인 여섯 하늘이 있다. 이 여섯 하늘을 육욕천(六欲天) 또는 욕계육천(欲界六天)이라 한다. 이 여섯 하늘의 사람들은 비록 천신이지만 모두 욕락을 지니기 때문에 욕천이라는 이름이 붙었다.[12]
[편집]색계
[편집]무색계
[편집]함께 보기
불교의 우주론
3계9지
3지
10법계
10지
5온
12처
18계
5위 75법
5위 100법
[편집]주석
↑ 가 나 다 (한국어) 운허 & 동국역경원. "三界(삼계)", 《불교 사전》. 2011년 2월 19일에 확인.
↑ 가 나 다 (중국어) "三界",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2011년 2월 19일에 확인.
↑ (영어) William Edward Soothill, Lewis Hodous. "三界",《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p.70. 2011년 2월 23일에 확인.
↑ (영어/중국어) "三千大千世界: 佛教术语汉英 中的 解释". Oldict.com. 2011년 2월 19일에 확인.
↑ 가 나 다 라 마 (한문) 제관. 《천태사교의》 T46n1931_p0776b09(00) - T46n1931_p0776b21(03). 2011년 2월 23일에 확인.
二十八天不同(欲界六天。色界十八天。無色界四天)初欲界六天者。一四天王天(居須彌山腹)二忉利天(居須彌山頂。自有三十三天。已上二天單修上品十善。得生其中)三夜摩天。四兜率天。五化樂天。六他化自在天(已上四天空居。修上品十善。兼坐未到定。得生其中)次色界十八天分為四禪。初禪三天(梵眾梵輔大梵)二禪三天(少光無量光光音)三禪三天(少淨無量淨遍淨)四禪九天(無雲福生廣果。已上三天凡夫住處。修上品十善坐禪者得生其中。無想天外道所居。無煩無熱善見善現色究竟。已上五天第三果居處。上之九天離欲麤散。未出色籠故名色界。坐得禪定故得禪名)三無色界四天(空處識處無所有處非非想。已上四天只有四陰而無色蘊。故得名也)上來所釋。從地獄至非非想天。雖然苦樂不同。未免生而復死死已還生。故名生死。
↑ (영어) Soka Gakkai International. "twenty-eight heavens", 《The Soka Gakkai Dictionary of Buddhism》. 2011년 2월 23일에 확인.
↑ (한국어) 운허 & 동국역경원. "二十八天(이십팔천)", 《불교 사전》. 2011년 2월 23일에 확인.
↑ 대정신수대장경(大正新修大藏經)과 만신찬속장경(卍新纂續藏經)에 속한 불교 경전들에서 "삼계이십팔천(三界二十八天)"이 사용된 예는 다음 구글 검색을 통해 볼 수 있다: (중국어) "三界二十八天". 2011년 2월 23일에 확인.
↑ 운허 & 동국역경원, "無想定(무상정)", 《불교 사전》. 2011년 4월 1일에 확인.
↑ (중국어) "欲界",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2011년 2월 19일에 확인.
↑ 가 나 (한국어) 운허 & 동국역경원. " 欲界(욕계)", 《불교 사전》. 2011년 2월 19일에 확인.
↑ (한국어) 운허 & 동국역경원. " 六欲天(육욕천)", 《불교 사전》. 2011년 2월 19일에 확인.
[편집]참고 문헌
(한문) 제관(諦觀). 《천태사교의(天台四教儀)》, 대정신수대장경, T46 No.1931. 2011년 2월 23일에 확인.

색계 [ru a-loka] (rupa-dhatu)브리태니커
불교 사상에서 형상의 세계 또는 차원.→ 삼계
이름이 같은 다른 항목

색계 色界 고려대장경전 불교용어사전
1]삼계(三界) 중 욕계의 위에 있으며 물질적인 것이 모두 청정한 천계. 욕망은 끊었지만 육체는 남아 있는 자의 세계. 욕계만큼의 욕망이 번성하지는 않는 세계. ...
미사색계본 彌沙塞戒本 고려대장경전 불교용어사전
1] 미사색오분계본 (彌沙塞五分戒本)의 약칭.
사무색계 四無色界 고려대장경전 불교용어사전
⇒ 사공처(四空處) .

아라한 [arhat, 阿羅漢] (나한)불교 | 브리태니커
(欲界)의 번뇌를 모두 끊어 결코 다시 태어나는 일이 없는 성자를 가리킨다. 죽은 다음 색계나 무색계에 나고 거기에서 아라한의 경지에 이르게 된다. 이는 앞의 두 단계를 ...

Ω♠문서정보♠Ω

™[작성자]™ Pun tarika
◑[작성일]◐ 2012-10-월-22-19-24
♨[수정내역]♨
▩[ 디스크 ]▩ [DISK] d:\G\G\08\01\불교공부_0008_색계천.htm
ж[ 웹 ]ж [web]
⇔[ 관련문서]⇔
{!-- 관련 문서 링크--}
Ш[ 관련 문서 인용 부분 ]Ш
ㅹ[ 코멘트 등 정리 내역]ㅹ

Comments